비즈니스 카테고리56 (5) Business operation process 대부분의 세일즈 팀을 가동하는 회사에는 기본적인 오퍼레이션 프로세스(업무처리과정)가 존재합니다. 물론 각 회사들 마다 약간씩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이러한 업무처리 과정은 조직의 내부 또는 외부의 영향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해당 조직은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서 본인의 비즈니스 또는 조직구성에 맞게 변화를 줘야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특히 세일즈 맨은 업무처리과정에 있어서 Ownership을 갖고 충분히 숙지하거나, 또는 효율적인 방법을 항상 생각해야 합니다. 우리는 이런 업무처리과정을 O2C (Order to Cash)라고 부릅니다. 즉 주문 부터 수금까지의 과정이라고 부릅니다. 그럼 업무처리과정을 간단하게 살펴 보겠습니다. O2C는 크게 두 가지의 영역으로 나뉩니다. Order(주문) 영역.. 2020. 8. 18. (4) Sales Fundamentals 세일즈맨은 어떤 업무를 할까? 물론 매일매일 많을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세일즈맨으로써 잊지 말아야 한 기본적인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DMPP + Detailing 1. Distibution 디스트리뷰션은 우리의 물건을 많이 팔기 위하여, 어디에 판매를 할까 하는 고민 입니다. 각 회사의 사업전략과 제품, 시장의 상황, 본인의 역량과 Customer와의 관계 등 많은 것들을 복합적으로 고민해야 합니다. 물론 내 물건을 많이 팔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많은 곳에서 판매해 주면 좋겠죠. 그렇게 하려면 당연히 세일즈 맨은 열심히 만나고 방문하고 설득해야 됩니다.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야 하는 항목 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에게는 시간이 한정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확한 고객에 대한 조사는.. 2020. 8. 17. (3) Sales & Marketing 세일즈 부서와 마케팅 부서는 회사의 "라인" 조직 입니다. 시장에 가서 우리 물건을 판매하기 위하여 열심히 노력하는 그룹인데, 가끔씩 그 역할이 혼란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이 업무는 세일즈가 해야 되는 것 아닌가? 아닌데 마케팅 부서에서 해야 되는데... 물론 저도 가끔은 그 역할에 있어서 혼란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세일즈와 마케팅 부서의 역할 차이는 무엇이 있을까 설명하고자 합니다. 1. 목표 부서의 최종 목표는 다릅니다. 세일즈 부서는 "Volume & Profit" , 전체적인 판매량과 이익에 초점을 맞추어 활동합니다. 마케팅 부서는 "시장점유율 증가", 우리의 제품이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상승하는 것에 목표를 둡니다. 2. 타겟 세일즈 부서는 우리의 물건 구매해 주는 "Custome.. 2020. 8. 16. (2) 라인과 스태프 조직 :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정립한 체계화된 구조에서 조직 구성원이 필요한 활동을 결정하고, 상호 간에 협조하며 수행하는 집합체입니다. 흔히 우리는 회사를 조직으로 부릅니다. 조직의 유형은 각 회사의 비즈니스 유형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제가 다니는 회사를 기준으로 보았을 땐 라인과 스태프 조직으로 구성 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많은 회사가 비슷한 구조로 구성이 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그럼 라인과 스태프는 무엇일까요? 쉽게 설명 드리자면, "라인"은 최전방에 서서 돌격하는 그룹이고, "스태프"는 "라인" 그룹이 전방에서 잘 싸울 수 있게 후방에서 지원하는 그룹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의 제품을 시장에 알리고 소개하며, 직접 고객(Customer, Consumer)을 만나는 S.. 2020. 8. 15. (1) 시작하게 된 이유 1. 제가 이 카테고리를 시작하게 된 이유 : 저는 14년 전에 사회생활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때 배속 받았던 부서가 "영업부:세일즈" 였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세일즈 부서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과정에서 제가 얻은 지식들을 공유하고자 시작합니다. 2. 제가 이 글을 읽는 분들께 드리고 싶은 말 : 솔직히 제가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영업의 신" 이라던지, 뛰어난 영업적인 실적을 이루지는 못했습니다. 다만, 제가 여기서 다루고 싶은 부분은 세일즈, 영업과 관련된 지식을 공유하고 또한 관심있으신 분들의 피드백을 받고자 함 입니다. 그리고 영업이라는 업무에 대하여 좀 더 알고 싶으신 미래의 "영업의 신" 분들에게 지식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플러스, 세일즈 직무가 갖고 있는 매력에 대하여 알려.. 2020. 8. 13. (3) 오픈마켓 판매자 등록 서류 오픈마켓에서 물건을 판매하는 판매자가 되기 위하여 첫번째로 해야 될일은 판매자로 등록을 해야 되며, 그에 필요한 서류가 있어야 합니다. 물론 소량의 물건을 판매하는 목적으로 개인 또는 간이과세로 등록하게 되면 몇몇의 서류가 면제되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판매가 이루어져 연간매출액이 4,800만원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일반과세자로 전환 됨을 유의해야 됩니다. 이에 몇몇의 오픈마켓 판매자 가입시 준비해야 될 서류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G마켓, 11번가, 쿠팡에서 요구하는 판매자 구비서류를 확인 해보았더니, 공통적으로 필요한 서류가 있습니다. 1. 사업자등록증 (개인사업자 기준) : 사업장 소재지 관할 세무서에 신청합니다. 2. 통신판매업신고증 (개인사업자 기준) : 온라인 판매를 .. 2020. 8. 9. 이전 1 ···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