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원하지 말고 좋아하라.

비즈니스 카테고리56

(4) 오픈마켓/소셜커머스 이용자 수 데이터 오픈마켓 또는 소셜커머스에서 물건을 많이 판매하는 방법 중에 한 가지는 많은 곳에서 판매하는 것 입니다. 당연히 많은 곳에 노출이 되면 더 많은 사람이 볼 것이고 구매 확률이 높아 질 것 입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다양한 오픈마켓 또는 소셜커머스를 운영하는 것은 생각 보다 어렵다고 합니다. 그럼 우리는 초기 진입하는 곳을 선택하고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1차 선택지는 당연히 이용자 수가 많은 곳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돈을 벌려면 사람이 많은 곳에 가야한다" 예전에는 당연히 사람이 많은 시장이나 시내의 중심가를 말하는 것이지만, 요즘에는 온라인 상에도 통용되는 말입니다. 그래서 몇 가지를 조사하였는데, 그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자료 출처는 "아이지에이웍스, 2019년 8월 MAU 기준"입니다. 물.. 2020. 8. 28.
(2) 2020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2020년 7월 산업연구원 (조철 선임연구위원, 권오성 부연구위원) 에서 "2020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을 발간 하였습니다. 요약하면, 2020년 12대 주력산업의 하반기 수출은 COVID 19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 침체의 영향을 받아 감소하겠지만, 상반기에 비해서 그 감소폭이 축소 될 것으로 전망 된다고 합니다. 자동차, 가전, 섬유, 철강, 정유, 석유화학, 디스플레이는 여전히 감소 할 것인 반면, 비대면 사회의 전환과 관련 있는 정보통신기기 및 반도체는 증가를 예상합니다. 수출의 경우 코로나로 인한 각국의 상황과 글로벌 경쟁 여건의 변화, 제품 글로벌 단가 등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좋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국내 수요 역시 자동차, 섬유, 가전 등은 위축 및 회복 부진이 예상 되나.. 2020. 8. 27.
(1) 2006년에 예측한 2020년 산업전망 새로운 비즈니스를 개발하기 위하여 자료를 찾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자료를 발견 하였습니다. 2006년 산업연구원에서 발행한 (저자: 송병준, 선임연구위원-주력산업실) "2020년 한국의 유망산업" 자료를 확인 하였는데, 놀라움을 금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2006년 당시, 세계시장의 성장성과 경제성, 공공성의 세가지 기준을 토대로 2020년 한국의 유망산업을 선정 하였는데 85개의 1차 후보를 추린 후, 전문가에 의한 검토와 조정, 한국산업 구조 전망과 델파이 조사를 통한 최종 유망산업 선정을 통하여 41개의 2차 후보로 좁혔습니다. 이렇게 선정된 유망 산업에서 메가트렌드(고령화, 기술개발 가속화, 자원환경 문제심화, 남북관계 진전, 세계경제 통합)을 고려하여 다시 14개의 산업 분류를 선정 하였습니다. .. 2020. 8. 25.
(7) 판매촉진전략 -B 3. 판매촉진 : 판촉이라고도 부르며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 촉진 하는 방법 입니다. 가. 비가격 판매 촉진 l 프리미엄 : 일정 금액 이상 구매 하면 추가 증정품을 지급하는 것 l 견본품 : 무료로 나눠 줌으로써 신제품의 브랜드를 인지하도록 촉진 하는 것 l 콘테스트 : 소비자가 상품을 타기 위해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여 경쟁하도록 하는 방법, 제품구매, 설문참여, SNS 업로드 등 l 시연회 : 고객의 눈앞에서 실제로 상품을 보여주면서 실현을 통하여 상품의 사용법과 차별화된 우위성을 납득 시키는 방법 나. 가격 판매 촉진 l 가격할인 : 해당 제품에 대한 경제적인 측면에서 가격을 할인 하여 구매 동기 부여 및 즉각적인 상품구매 유도 l 쿠폰 : 소지한 사람에게 어떤 이익이나 현금 적립 또는 선물을 주기.. 2020. 8. 23.
(7) 판매촉진전략 -A 세일즈맨은 항상 고민하는 것이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더 잘 판매 할 수 있을까?", 판매를 더욱 하기 위하여 무엇인가를 해야 하는데 이러한 전략을 "판매촉진전략" 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프로모션"은 제품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 알리고, 구매하도록 설득하고 유도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판매를 촉진하는 마케팅 활동이며 판매촉진전략의 상위에 있는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이러한 판매촉진전략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어떤 점을 집중해야 봐야 되는지 살펴 보겠습니다. 1. 광고 광고는 전통적으로 매출액의 증대로 생각해 왔으나, 현재는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창출로 보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광고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아래와 같은 조건이 필수 입니다. l 인지와 친근감을 높이고 l 브랜.. 2020. 8. 22.
(6) Profit & Loss 세일즈맨의 가장 기본적인 업무는 판매이며, 판매를 더욱 증가하여 최대한의 매출을 일으키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결국 많이 팔면 매출액이 늘어나는 것은 상식적인 이야기 일 것 입니다. 그리고 판매가격은 제품 또는 서비스의 가치, 시장의 수요와 공급, 경쟁사의 가격 등에 따라 영향을 받아 결정이 됩니다. 하지만 회사를 대표하는 Sales representative 로써 세일즈맨이 알아야 될 것이 있습니다. P&L, Profit & Loss, 손익계산 항목입니다. 본 항목은 세일즈 부서 보다는 회계부서에서 주로 다루는 항목이긴 하지만 세일즈맨도 기본적으로 알아야 합니다. 필드에서 영업을 진행하다 보면 아주 많은 협상이 필요합니다. 특히 매출을 늘리기 위한 프로모션 활동 중 "Discount, 할인"이 .. 2020. 8.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