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원하지 말고 좋아하라.
비즈니스 카테고리/비즈니스 전망대

(11) 최근 산업 동향 : 2020년 10월

by 주니스 파파 2020. 11. 18.
728x90
반응형

이미지는 "Pixabay"에서, 구성과 워딩은 직접 하였습니다.

본 내용은 산업연구원 발행 "미래전략산업 브리프 15호"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글로벌 신산업 초점

l 혁신적 비즈니스모델의 경쟁력, 세계 선도기업과 국내 선두기업군 간의 혁신성 격차 상존

l 현실화되는 EV 테슬라의 힘, 양산차 메이커로서의 자리매김 강화

l 초대형 M&A로 경쟁이 가속화되는 세계 반도체산업 재편

 

글로벌 신산업의 최근 기술개발 및 투자 전략

l (게놈 분석) 기술력을 갖춘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면서 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

l (수소) 脫탄소 시대로의 대전환기를 맞아, 수소 활용의 필요성이 빠르게 확산

l (이차전지 4대 소재) 세계 리튬이온전지용 4대 소재의 국별 시장점유율 추이 : 중국의 압도적 우위 유지 속 한국의 위상 강화 기대

l (전기차)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은 전기차(EV) 투자를 가속화하면서 본격적인 EV 시대의 도래에 적극 대응

l (자율주행) 승용차보다 ‘트럭’의 우선 상용화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대

l (이미지센서) 소니가 독주하는 20조원 규모의 이미지센서 시장에 한국 기업들의 추격이 본격화 신산업별 최근 동향

l (미래자동차) 자율주행차는 대체로 2025년 전후 상용화를 목표로 글로벌 기업들의 개발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

l (전기차) 주요국의 전기차 정책은 그동안의 직접 지원에서 점차 간접적인 보조금 과 인센티브 및 규제로 전환하는 흐름 l (서비스용 로봇) 2019년의 시장이 전년비 28% 성장하면서 제조용 로봇 시장규모 를 처음으로 상회하고 본격적인 로봇산업 성장을 주도할 전망

l (드론) 초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주도로 발전된 형태의 드론 배송서비스가 전개 중인 가운데, 코로나에 대응하여 미국 월마트도 처음으로 드론 택배서비스 실험 시작

l (IoT 가전・스마트홈) 샤오미의 국내시장 진출 영향 발생 가능성, 다양한 이업종 기업간 협력으로 국내 사업다각화 및 신사업 추진(고령층 보호, 가구와 융합, 식물 재배 등)

l (지능형 반도체) 글로벌 기업들은 대규모 M&A를 통하여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신 사업 영역을 개척하려는 전략을 강화 l (이차전지) 전기차 화재 발생으로 배터리의 안전한 사용 관련지침 마련 필요성 대두, ‘폐배터리’ 재사용에 대해 실증특례 2년을 승인하는 등 신비즈니스 모델 지원책 마련

l (PET 필름) 첨단 분야에의 PET필름 적용이 확대되면서 세계시장 성장성이 유망, 국내 PET필름 수입의 약 70%는 일본산으로 고부가가치제품 국산화 시급

l (인공지능) 국내의 인공지능 특허 출원은 급신장세이나 산업 생태계 여건은 미흡, 반도체 및 IT 등 다양한 산업에서 AI 기술확보를 위한 M&A 및 AI활용 제품・서비 스 개발이 확산

l (차세대 통신: 5G) 4분기부터 미국의 5G 투자가 확대될 전망인 가운데, 6G 주도 권 확보를 위한 국내외 주요 기업들의 선제적 연구와 투자도 본격화

l (실감형 콘텐츠) 국내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생태계의 상호 유기적 성장이 중요 한데, 현재는 느린 디바이스 보급속도가 애로로 작용

l (바이오・헬스) 국내 바이오 제약사들은 스핀오프・인수합병・지분투자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제네릭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업외연을 확장하는 전략을 구사

 

현재 우리나라의 주요 신산업 분야는 글로벌 경쟁 기업에 비하여 상당히 열세인 것으로 판단 된다고 합니다.

저는 수소차, 전기차, 바이오 헬스 쪽을 관심있게 지켜 보고 있는데

체감하기로도 우리나라가 뒤쳐져 있는 것은 사실 인 듯 합니다.

 

더욱 뒤쳐지기 전에, 정부의 과감한 지원과 기업들 간의 제휴를 통하여 극복해 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코로나 상황인 것은 맞지만, 그래도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 할 건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