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제가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 산업 중 가장 1순위가 수소관련 산업입니다.
뉴스에서 모 자동차 회사에서 수소차를 개발했다는 소식도 들리고, 관련 회사에 대한 내용을 많이 접할 수 있었습니다.
수소는 고갈과는 화석원료를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기후변화와 대기오염 등 환경문제를 최소화하는 차세대 청정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분명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주력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예측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부터 수소차 보급 및 시장 활성화 정책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으며, 2019년 1월에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는 등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에서도 활발한 투자 및 연구가 진행 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수소산업은 산업발전 단계상 시제품 생산 단계에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2030년 부터는 본격적인 성장세에 들어설 것으로 예측 됩니다.
국내 수소 산업의 구조는 수소연료전지 분야가 약 3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수소 생산과 저장 및 운송, 수소모빌리티, 연료전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주요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국내 수소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은 미국과 일본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파악 됩니다.
수소산업에서 중심이 되는 산업은 수소자동차가 포함된 수소모빌리티가 될 것으로 예측 되지만, 인프라의 구축 없이는 절대 성장 할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기업과 정부의 지원이 매우 필요합니다.
지속적으로 정부에서 관심을 갖고 지원을 하고 있고,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시장 변화,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 상황으로 보았을 때, 수소 산업은 앞으로 더욱 발전할 것이며, 속도도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 됩니다.
* 본 내용은 산업연구원에서 발간한 "산업포커스, 한국 수소산업 생태계 분석을 통한 발전전략 및 과제"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 > 비즈니스 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경제산업동향 : 2020년 10월 (0) | 2020.10.27 |
---|---|
(8) 우리나라 IT 산업의 현재 (0) | 2020.10.06 |
(6) 미래전략산업 (0) | 2020.09.18 |
(5)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경제 변화 (0) | 2020.09.10 |
(4)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기 특이성 (0) | 2020.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