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산업연구원에서 발행한 "코로나19와 글로벌 가치사슬 재편에 따른 중장기 대응 방안" 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는 현재에 모든 국가의 경제가 사슬로 엮여 있기 때문에, 우리경제도 조그마한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글로벌 경제 참여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코로나19에 기인하여 국내 충격과 외부 충격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그 중에서도 글로벌 공급망이 마비되고 붕괴로 확대될 조짐이 보입니다.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듯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다 보면 분명 우리나라에 유리한 부분이 있을 것 입니다.
1. 글로벌 기업들의 공급망 리스크 관리와 글로벌 가치 사슬(GVC) 중요성에 대한 인식 강화
- GVC를 주도하는 글로벌 다국적기업의 관점에서 볼 때 대규모 투자 와 장기 관계를 필요로 하는 GVC와 공급망 구성 시 투자국의 리스크가 낮고 안정적 생산·거래가 가능한가 여부는 코로나19 이후 투자 결정에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으 로 부각될 것이기 때문임.
2. 수출 및 해외시장 진출에 있어서 주요국의 생산 차질은 새로운 제품과 시장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잠재적 기회 제공
- 이를 활용하면 상대적으로 코로나19 리 스크에 노출되지 않았거나 큰 타격이 없었던 국가들을 중심으로 시장 다변화가 가능해짐
3.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으로 기존 산업과 GVC의 디지털화 서비스화를 더욱 가속화 할 것으로 예상
-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 대면 서비스나 체화된 기술조차 머지않 아 디지털화되고 국가 간 거래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통 적인 중간재, 인력이동을 통한 GVC 연계보다 디지털화를 통한 데이터나 원거리 서비스 투입을 통한 GVC 연계가 강화되고 GVC 자체의 질적 변화가 가속화될 전망
이렇듯 세계의 경제의 중심이 기존 제조업 중심에서 점차 디지털로 변화 할 것이며, 코로나로 인해 가속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물론 반도체 강국인 우리나라의 입장에서는 호재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리고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발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감사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 > 비즈니스 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한국의 수소산업 : H2 (2) | 2020.09.23 |
---|---|
(6) 미래전략산업 (0) | 2020.09.18 |
(4) 코로나로 인한 경제위기 특이성 (0) | 2020.09.02 |
(3) 글로벌 시장 기술 개발 및 투자 동향 (0) | 2020.08.31 |
(2) 2020년 하반기 12대 주력산업 전망 (0) | 2020.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