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에 대응하여 2021년 신산업에서는 기술혁신이 계속되는 가운데 산 업범위가 확산되고,
타산업과의 연관성이 더욱 강화될 전망
◈ 2021년 신산업 중점 이슈의 4대 핵심 키워드
- ① 이업종간 제휴, ② 디지털 전환(DX), ③ 공급망, ④ 친환경
l 2021년 신산업 이슈의 큰 특징은 공급망(supply-chain) 및 산업생태계와의 연계 성이 증대되고, 스마트화 및 융합화가 가속화되며, 다양한 응용분야로의 진출이 예상되는 가운데 전반적으로 수요확대가 전망되는 점
▸ 수요증가로 시장의 높은 성장성 기대 : 전기차, 스마트홈/ARㆍVR, 지능형반도체, 이차전지
▸ 다른 분야에서의 활용기회 증가에 따른 새로운 응용시장 창출 확대 : 지능형로봇, 스마트홈/ARㆍVR, 인공지능
▸ 스마트화ㆍ융합화의 확산 : 자율차, 지능형로봇, 바이오의약ㆍ헬스케어, 인공지능
▸ 환경보호 등의 실행을 위한 환경친화 대응성 증대 : 전기차, 첨단소재, 수소
▸ 연관산업과의 연계성이 강조되는 산업생태계 및 공급망 중요성 증대 : 자율차·전기 차, 지능형반도체, 첨단소재, 이차전지, 수소
◈ 글로벌 신산업의 최근 기술개발 및 투자 전략
l (전기차) 애플카 추진이후, 글로벌 IT기업들의 전기자동차 시장 진출이 다시 주목 → 진출 실현 시 기존 글로벌 자동차메이커들의 위상 위협
l (지능형반도체) 일본 반도체산업은 글로벌 포지션이 크게 위축되었지만, 일부 시스템반도체의 지속 투자를 통해 틈새시장 경쟁력 유지에 역점
l (신소재)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일본에서는 항바이러스 소재 개발이 최근 소 재산업의 새로운 흐름으로 주목
l (인공지능) AI 기술이 빠르게 진보하면서 각 산업에서의 AI 활용 범위도 크게 확 장 → AI는 모든 산업의 ‘공통 자산’으로 부각
l (이차전지) 중국 CATL, 향후 5년간 생산능력을 5배 확대하는 대규모 연속투자를 계획하여 ‘脫중국’ 모색 → 향후 국내기업들과의 경쟁심화 가능성
◈ 신산업별 최근 동향
l (자율차·전기차)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은 자율주행 테스트 및 개발 데이터 축적을 위해 규정을 개선하고 고속도로에서의 테스트를 허용
l (지능형 로봇) 현대차의 보스턴 다이나믹스 인수, 다임러-루미나 간 제휴 등 로봇 수요기업-제조기업 간 M&A 확대 및 전략적 제휴가 활발
l (스마트홈/AR·VR) 비대면 경제활동이 증가하고 일상생활의 공간이 ‘집안’으로 제약되면서 스마트홈이 본격 성장할 전망 l (바이오의약·헬스) 블록체인 기술이 의료 빅데이터의 보안 유지 및 유통의 핵심 기술로서 부상
l (지능형반도체) 반도체 선도기업들은 R&D 강화 및 팹(Fab) 투자 확대는 물론 스 2021. 2. 제17호 3 마트폰 AP, 전기·자율주행차 등 핵심 수요산업 진출을 가속화
l (첨단소재) 자동차, 가전, 항공우주 등 주요 산업에서 활용되는 소재의 경량화 구 현을 위한 이종소재접합 관련 기술개발이 확대
l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스마트가전, 바이오의약 등 제품·서비스의 초지능화를 위 한 수단으로서 AI칩 개발이 빠르게 진행
l (이차전지) 중국은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발전계획(2021~35)을 통해 파워배터리 가치사슬 개발 촉진 등 이차전지 기술개발 목표를 설정
l (수소) 액화 수소분야 세계 1위 기업인 독일의 린데 등 주요 수소기업들의 국내 진출이 본격화
저는 현재 전기차, AI, 5G, 2차 전지에 집중하여 주식을 투자하고 있으나, 별로 큰 수익은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충분히 해당 산업이 성장 할 것이라 생각 합니다.
'비즈니스 카테고리 > 비즈니스 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전략산업 브리프 2021년 6월 (0) | 2022.02.08 |
---|---|
미래전략산업 브리프 2021년 6월 (0) | 2021.08.30 |
엣지 컴퓨팅 : 클라우드를 넘을 것인가. (0) | 2021.02.16 |
최근 산업 동향 : 2021년 2월 (0) | 2021.02.09 |
2021년 이후 성장할 산업 예측 (0) | 2021.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