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유준이아빠는 주식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큰 돈은 아니고, 유준이가 태어나고 조금 모아둔 돈으로...)
다들 아시겠지만, "돈을 일하게 해야 된다"는 트렌드와 코로나로 인한 경기실적악화, 고용불안 등으로 인하여 많은 분들이 재테크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황 입니다.
당연히 주식에 대한 공부도 필요하겠지만, 현재 국내외의 경제상황을 아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 하였습니다.
이에 "산업연구원"에서 발행하는 실물 경제 속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 해외경제 : 주요국 중앙은행, 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 미국은 11월 생산과 소비 등 실물지표들과 체감지표들이 대체로 부진한 모습을 보인 가운데 연준은 2020년과 2021년 말의 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 일본과 유로존은 10월 실물지표들이 동반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일본은 행(BOJ)이 기업들에 대한 자금지원 시한을 6개월 연장하는 한편, 유럽중 앙은행(ECB)도 코로나 재확산에 대응하여 현 채권매입 규모를 추가 확대 ○ 중국은 11월 내․외수 지표들이 전월보다 증가세가 확대되는 호조세를 보 인 가운데 인민은행은 현 금리를 유지하면서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
○ 달러화 등 안전통화는 주요국들의 백신 접종 개시 등으로 약세를 보인 이후, 노딜 브렉시트 가능성과 코로나 변이 확산 우려 등으로 강세 전환
○ 유가는 미국의 원유재고 감소세와 달러화 약세 지속 등으로 배럴당 50달 러를 한때 돌파한 이후에, 코로나 변이 확산 우려 등의 여파로 반락 전환
□ 국내경기 : 10월 전산업생산 전월비 보합, 소비․투자 동반 감소
○ 지난 10월 전산업생산은 광공업에서 전월과 달리 감소세로 전환된 반면, 서비스업에서는 전월비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전월 수준에서 보합 - 소매판매는 비내구재 판매가 대폭 감소한 여파로 전월비 0.9% 감소하 고, 설비투자도 운송장비에서 큰 폭 감소한 영향으로 인해 3.3% 감소
□ 금 융 : 11월 기업대출 둔화·가계대출 확대, 12월 중순(12.11~12.24 일) 금리 급등락 및 원/달러 환율 1,100원대
○ 지난 11월 국내 은행들의 기업대출은 대기업 대출이 재차 감소하고, 중소 기업 대출도 줄어들면서 전월비 증가 규모가 축소된 반면, 가계대출(모기 지론 양도 포함 시)은 기타대출이 크게 늘면서 큰 폭으로 확대
○ 국고채(3년) 금리는 국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추경 가능성 등으로 상 승세를 보이다, 미국의 국채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다시 급반락 전환
○ 원/달러 환율은 외국인들의 주식 순매도 등으로 상승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노딜 브렉시트 불확실성과 코로나19 변이 확산 우려로 1,100원대로 상승
□ 산업별 동향 : 10월 제조업생산·서비스업생산 전년동월비 동반 감소
○ 제조업생산은 반도체 등 일부 업종을 제외하고 자동차와 기계장비, 1차금 속, 화학제품 등 다수 업종에서 감소한 여파로 전년동월비 2.2% 감소 - 중공업과 경공업에서는 감소 전환, 제조업ICT에서는 증가세가 둔화
○ 서비스업생산은 금융․보험과 보건․사회복지 등을 제외하고, 운수․창고, 숙 박․음식점, 사업시설관리․지원․임대 등에서 감소함에 따라 2.5% 감소 - ICT서비스업은 전년동월비 2.9% 증가, 전월비 기준으로는 3.9% 감소
□ 고 용 : 11월 전산업 취업자 수 기준 전년동월비 1.0% 감소
○ 11월 전산업 취업자 수는 광공업에서의 취업자 감소폭이 확대된 영향에 도 농림․어업에서의 취업자 증가세와 SOC․기타서비스업에서의 취업자 감 소폭이 줄어들면서 전년동월비 감소율이 축소(-1.5% → -1.0%)
□ 수출입 : 11월 수출 +4.1%, 수입 –1.9%, 무역흑자 59억 달러
○ 지난 11월 수출이 전년동월비 4.1% 증가한 458억 달러, 수입은 1.9% 감소 한 399억 달러로, 무역흑자 규모는 59억 달러를 기록
○ 품목별로는 13개 주력 품목 가운데 반도체·자동차·선박·디스플레이· 무선통신기기 등 8개 품목에서 증가하고, 석유화학·석유제품·철강 등은 저유가 및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 여파로 부진 지속
'비즈니스 카테고리 > 비즈니스 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2대 주력산업 전망 (0) | 2021.01.20 |
---|---|
2030년 유망산업 (0) | 2021.01.08 |
100가지 블루오션 시장(2) (0) | 2021.01.05 |
(12) 최근 산업동향 : 2020년 11월 (0) | 2020.12.31 |
100가지 블루오션 시장 (1) (0) | 2020.12.17 |
댓글